북한 주민들이 식량이 부족해서 이웃이 굶어 죽었다고 비밀 인터뷰에서 밝혔다고 BBC가 보도했다. BBC는 북한 전문 매체 데일리NK의 도움을 받아 북한에 사는 일반 주민 3명을 인터뷰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북중간 국경 폐쇄 이후로 굶어 죽거나 법 위반으로 처형당할까 봐 두렵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인터뷰 내용은 북한이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이후 최악의 상황임을 시사한다고 말했다고 BBC는 전했다.
BBC에 따르면 평양에 사는 지연(이하 모두 가명)이란 이름의 한 여성은 세 식구가 집에서 굶어 죽은 걸 안다고 말했다. 집 문을 두드려도 아무런 대답이 없어 안에 들어가 보니 그들은 사망한 상태였다고 했다.
중국 국경 근처에 사는 건설 노동자 찬호씨는 식량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탓에 마을에서 5명이 굶어 죽었다고 말했다. 그는 "처음엔 코로나19로 죽을까 봐 무서웠지만 이후엔 아사할까 봐 걱정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중국 밀수품을 파는 상인인 명숙씨는 전에 장마당에서 팔리던 제품 4분의 3이 중국에서 왔는데 이젠 비어있으며 수입이 대부분 사라졌다고 말했다. 그는 가족이 먹을 음식이 이렇게 적었던 적이 없다면서, 애들을 먹이려고 고군분투하고 있고, 한 번은 자기가 이틀간 못 먹어서 자다가 죽을 것 같았다고 말했다.
지난 1990년대 말 북한에선 혹독한 기근으로 무려 300만 명이 목숨을 잃은 바 있다. 그리고 최근 들어 다시 기근을 겪고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이번 인터뷰를 통해서도 이러한 소문에 힘이 실리는 가운데 북한이 또 한 번 재앙으로 치닫는 건 아닌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북한 경제학자 피터 워드는 "평범한 중산층의 이웃이 굶어 죽는 것은 매우 우려스럽다"며 "아직 전반적인 사회 붕괴나 대규모 아사는 아니지만, 분명히 상황이 좋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북한 인권침해를 기록하는 북한인권정보센터의 송한나씨도 "지난 10∼15년간 아사 사례는 거의 못 들어봤다. 북한 역사상 가장 어려운 시기를 떠올리게 된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 발표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 전에는 해마다 1천명 이상이 탈북이 가능했었다.
그러나 명숙씨는 "지금은 강에 가까이만 가도 가혹한 처벌을 받을 것이라서 아무도 건너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찬호씨는 친구 아들이 최근 비공개 처형을 여러 건 목격했으며, 건마다 3∼4명이 탈출 시도를 하다 잡혀 와서 처형됐다고 말했다.
그는 "매일 매일 살기가 더 힘들어진다. 한 번 잘못 움직이면 처형"이라며 "우리는 여기 갇혀서 죽기만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BBC는 김정은도 식량 위기를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등 상황의 심각성을 시사한 바 있지만, 그런데도 그는 핵무기 개발을 우선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은 지난해 탄도미사일 63발 발사시험을 했는데 이 비용은 5억달러(약 6천375억원)가 넘는 것으로 추산됐다고 말했다. 이는 북한 연간 곡물 부족량을 메꾸고도 남는 규모라고 BBC는 덧붙였다.
한편 BBC는 조사한 내용을 북한 당국에 보내 문의했으나, 돌아오는 답은 “우리는 어려운 시기에도 항상 인민의 이익을 우선시한다”는 내용이었다고 전했다.
김경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