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식량난을 강조하며 국제사회에 식량지원을 호소하면서도 지원을 하려면 통 크게 하고 아니면 말라는 식으로 배짱을 부리고 있다고 미국의 소리 방송이 보도했다.
북한당국의 처사에 북한 내 주민들은 물론 간부들도 당혹해 하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은 전했다.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지난 1일 “5월 하순 중앙에서 각 도, 시, 군 인민위원회 산하 해외동포영접국에 해외 소재 민간단체의 지원 규칙이란 것을 하달했다”면서 “이 규칙에는 국제민간단체가 식량지원을 제안해올 경우, 300톤 이상만 지원 받으라는 내용이 담겼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외부의 식량지원을 애타게 기다리는 해당 기관 간부들은 300톤 이상일 경우만 받을 수 있다는 하한선을 중앙에서 정해 놓자 무척 난감해 하고 있다”면서 “간부들은 한 톤의 식량이 아쉬운 판에 공짜로 주겠다는데 큰소리 치는 중앙의 처사를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소식통은 또 “과거에 외국의 민간단체로부터 식량지원을 받을 때는 100톤이든 200톤이든 주는대로 다 받아들였다”며 “하다못해 남한이 식량을 지원했을 때도 ‘쌀에 사상이 있나, 공짜로 식량을 받는 것은 우리의 전략적 승리’라고 주민들에게 선전한 적이 있다”고 지적했다.
소식통은 이어서 “그동안 외국의 민간단체들이 지원한 식량은 대개 입쌀보다 값이 눅은 강냉이(옥수수), 콩, 밀가루였다”면서 “현재의 강냉이 가격으로 환산해도 300톤이면 10만 달러에 달하는 금액인데 소규모 민간단체들에는 버거운 금액”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외국의 민간단체가 해외동포영접국에 식량지원 의사를 밝혀오면 즉시 평양에 보고해야 한다”며 “해외 민간차원의 식량지원은 분배확인 절차도 필요 없기 때문에 일반 주민들은 제외되고 중앙의 지시에 따라 경제협조국과 양정국을 통해 군, 당, 사법, 정무원 배급용으로 풀리게 된다”고 주장했다.
함경북도의 또 다른 소식통도 같은 날 “앞으로 외국에서 300톤 이하의 식량지원을 제안하면 받지 말라는 내부지시가 평양으로부터 내려왔다”며 “요즘 주민들, 특히 농민들이 식량난으로 고생하고 있는데 당국에서는 말도 안 되는 지시를 내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소식통은 “지난 5월 중순 미국의 민간단체인 ‘크리스’가 우리(북한) 정부에 식량지원 의사를 밝혔다”면서 “하지만 ‘크리스’가 지원하겠다는 식량 25톤이 중앙에서 정한 지원기준 300톤에 미치지 못한다는 이유로 바로 거절당했다”고 밝혔다.
소식통은 또 “’크리스’는 지난 수년간 영양실조에 걸린 우리(북한) 어린이들과 노인들을 대상으로 무상지원을 계속해온 자선단체”라며 “하지만 이번에 중앙이 정한 식량지원 기준에 미달한다는 이유로 지원활동이 중단됐다”고 설명했다.
소식통은 “현재 장마당에서 강냉이(옥수수) 1킬로그램이 중국돈으로 1.8~2위안에 거래되는데 300톤이면 60만위안 정도가 된다”면서 “중앙에서는 해외 민간단체들이 적은 양의 식량지원을 구실로 우리 내부에 침투해 주민들의 사상교란을 시도한다고 주장하는데 도대체 무엇이 두려워 공짜로 주는 식량도 받지 못하느냐는 불만이 주민들 속에서 일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탈북민들은 "북한에 주고 줬다는 소리 들으라는 속담이 있다"면서 "북한이 식량난에 들긴 했지만 여러 단체에서 보내오는 소량의 식량지원은 자존심이 상해서 김정은이 못받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주민들이 굶어 죽든 말든 자존심 싸움을 하는 김정은이야말로 독재자가 갈 최후의 길을 가고있다"고 분노를 터뜨렸다.
이예린 기자